과학적인 공부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의 한계를 인정하자, 모든 시험을 잘 볼 수는 없다 나의 한계를 인정하자, 모든 시험을 잘 볼 수는 없다 나의 한계를 인정하자는 말은 얼핏 이상하게 들리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노력하면 무엇이든 될 수 있으니까 꿈을 크게 가지라는 말을 많이 들으며 자라왔습니다. 저 또한 학교에서 이런 말을 무수히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제가 드리고자 하는 말씀은 해도 안되니까 포기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오히려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어느 상황, 어느 분야이든 욕심을 부리는 것은 좋습니다. 적당한 욕심은 사람을 성장하게 만드는 자극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항상 경계해야 하는 것은 지나칠 정도로 큰 욕심, 즉 과욕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스포츠를 할 때, 음식을 먹을 때 항상 크게 .. 더보기 무조건 오래 공부하면 좋은 것 아닌가요? / 순공부시간 / 집중의 중요성 성적은 엉덩이의 무게가 결정한다는 뉘앙스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 말은 좋은 머리보다, 좋은 선생님보다, 좋은 학습전략과 방법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공부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말입니다. 물론 맞는 말입니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했을 때 당연히 오래 공부한 학생이 조금 덜 공부한 학생보다 성적을 잘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런데, 과연 일정한 컨디션으로 남들보다 오래 공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공부를 오래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처음에는 집중이 잘 안되다가 조금 시간이 지나면 집중력이 올라가서 공부가 잘되고 시간이 빠르게 흐르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시점이 지나면 다시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다른 생각이 훅훅 들어오면서 머리가 지끈지끈해지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싶어집니다. (.. 더보기 플래너에 계획을 이쁘게 정리해놓는게 공부의 시작 아닌가요? / 공부 계획 / 공부의 본질 플래너에 계획을 이쁘게 정리해놓는게 공부의 시작 아닌가요? 과외를 할 때 학부모님들에게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주로 아들이 있는 어머님들께서 이런 질문을 많이 주시는데, 저의 대답은 이렇습니다. ‘어머님 학습 계획을 짜는 것은 당연히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인데 이 학습 계획을 굳이 플래너에 이쁘게, 보기좋게 적을 필요는 없고 하루하루 머릿속에라도 계획이 들어있으면 됩니다’ 살다보면 형식이 내용을 지배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질이 아닌 것이 본질인 것처럼 둔갑해서 정작 중요한 본질이 흐려지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서 여행을 갔는데 사진을 찍는 행위에 지나치게 심취한 나머지 사진은 많이 남겼으나 정작 여행을 간 그 순간에만 눈으로 담을 수 있는 풍경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거나 그 때의 좋은 기분.. 더보기 우리 애가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안해서… / 학력의 대물림 / 노력만으로 되는 것은 없다 저는 대학교 1학년이던 스무살 시절부터 서른 한살이 된 지금까지 꽤 많은 과외를 해왔습니다. 과외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중앙 봉사동아리에서 부회장으로 활동을 하며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했고, 학원에서 공부에 관한 특강도 진행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학부모님들과 상담을 했었는데 학부모님들과 상담을 하면 굉장히 높은 확률로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선생님 저희 애가 머리는 좋은데… 공부하는 법을 모르고 공부를 안해서 성적이 이모양이에요… 제가 초보 과외선생님이었을 때 이런 말을 들었을 때는 학부모님의 말씀에 공감을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렇지만 대학교에서 다양한 수준의 친구들을 보고, 대학원에 진학한 후에 수업을 진행하면서, 그리고 제가 가르친 학생의 수가 늘어날수록 저의 생각은 확고해졌습.. 더보기 몇시간 이상 잠자면 좋은 대학교 못가는 것 아닌가요? / 수면시간의 과학 / 수면 유전자 어릴 때부터 수없이 들었던 말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학원에서, 매스컴에서, 이상할 정도로 많던 주위의 엄친아와 엄친딸의 이야기로 전해져 오는 공부에 대한 흔한 클리셰입니다. 좋은 대학교 가려면 하루에 x시간 이상 자면 안된다 중학교에 다닐 때 고등학생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이런식으로 겁을 주는 어른들 때문에 겁을 먹고 고등학생이 되는 그 날이 오지 않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는 몰랐습니다. 그런 말을 옮기는 사람들 중에 실제로 본인이 그렇게 학창시절을 치열하게 보냈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사람은 별로 없다는 것을. 제가 나름대로 좋은 대학교와 대학원에 다녔던 경험과 두번째로 대학교를 다니면서 공부를 해본 경험에 따르면 수면시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렇게 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