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리뷰

가스라이팅이 뭘까? 뇌는 거짓말을 한다



OCN의 드라마 '타인은 지옥이다'의 소재로 사용되어 


유명해졌던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은 심리학 용어인데 이것은 상황의 조작을 통해 타인에게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고


이를 통해 상대의 정신을 조정하고 지배력을 행사해서 상대를 정서적으로 학대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것은 세뇌를 



이번에는 가스라이팅의 어원과 작동 과정, 셀프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어원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1938년 영국에서 패트릭 해밀턴이 연출해서 상영된 연극 


'가스등 Gaslight'에서 유래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정신적 학대'를 뜻하는 심리학적 용어입니다





이 연극에서 남편 잭은 아내 벨라를 끝없이 억압하는데 


남편 잭은 보석을 훔치고자 윗집의 부인을 죽이고 보석을 찾기 위해 가스등을 켭니다.


이 때의 가스등은 다른 집과 가스를 나누어서 써야 했기에


가스등을 켜면 다른 집의 불이 어두워지게 되죠


그러면 범죄행각이 들킬 위험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잭은 집의 물건을 숨기고 아내 벨라를 물건을 잃어버렸다고 죄를 뒤집어 씌우고 타박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위층에서 가스등을 켜고 집을 뒤질 때 벨라가 있는 아래층의 불이 어두워지고


뒤적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이 벨라의 과민반응으로 인한 것이라고 되려 화를 내며 타박합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벨라가 오히려 화를 내야하는 상황이 맞지만


지속된 타박과 공포로 인해 벨라는 자신에 대한 의심을 품게 되고 무기력증에 빠져 남편에게만 의지합니다


이런 현상을 가스라이팅이라고 합니다


가스라이팅은 부부나 연인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작동과정은 무엇일까요?





2. 작용과정


사람의 뇌는 경험이나 기억도 무의식적으로 재구성합니다


가끔씩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인데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났었다고


굳게 믿었던 경험이 있지않으신가요?






가스라이팅도 이런 뇌의 기억 조작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가스라이팅을 당한 사람은 자신이 피해자가 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다른 사람들이 별 것 아니라고 말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힘들어지죠


특히 이런 상황은 상하 권력구도가 명확한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합니다.




가스라이팅 가해자의 행동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관계 형성


가스라이팅의 피해자와 가해자는 보통 밀접한 관계입니다.


가족이나 직장 상사, 연인인 경우가 많죠



2. 기억 왜곡


이런 관계가 형성되면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해


피해자가 왜곡된 기억을 믿게 합니다



3. 미니마이징


3단계까지 진행되면 주변사람들이 봤을 때 피해자가 이상해보이기 시작합니다



4. 무시


가해자는 피해자를 예민한 사람으로 몰아가고 피해자의 기억과 감정까지 틀린 것으로 강요합니다







가스라이팅 피해자의 행동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논쟁


초기단계에서는 파트너와 대화로 풀기 위해 노력합니다. 


아직은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있는 단계입니다.



2. 매달림


피해자는 가해자가 본인을 싫어하게 될까봐 걱정하기 시작합니다



3. 자책


피해자는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고 가해자의 생각이 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가해자가 지적한 결함에 집착하고 고치기 위해 애쓰게 됩니다





3. 가스라이팅 자가테스트


심리학자 로빈 스턴박사가 제시한 가스라이팅 자가테스트입니다


이 중 해당되는게 많으면 가스라이팅 피해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 내 언행을 자꾸 되돌아보고 후회하고 자책한다


2. 내가 너무 예민한가? 하고 몇번씩 자문한다


3. 종종 혼란스럽고 내가 미쳐가고있다는 생각을 한다


4. 나는 늘 내 파트너에게 사과하고 있다


5. 내 삶에 복받은 점이 많은데 난 왜 더 행복하지 않은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


6. 나는 주변사람들에게 파트너의 행동에 대해 변명할 때가 잦다


7. 주변사람들에게 더이상 설명하거나 변명하기 싫어서 말하지 않고 숨기는 일들이 많다


8. 뭔가에 심각하게 잘못됐다는 것을 알지만 나 스스로에게조차 콕 찝어서 말할 수가 없다


9. 파트너에게 무시당하거나 현실을 왜곡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나는 그에게 거짓말을 하기 시작했다


10. 나는 간단한 결정조차 하기 힘들다


11. 이전의 나는 완전 다른사람이었다는 느낌이 든다